2013. 5. 10. 10:59ㆍIT/Develope
얼마전 고객사에서 레포팅 화면을 바꾸고 싶다고 하여 이제는 사장되어버린 리큐브를 유지보수 할 일이 생겨 옆에 계셨던
선임님의 도움으로 설치 및 조작을 해보았습니다.
1. 리큐브 설치(디자이너)
1) 우선은 당연히 설치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. 설치프로그램명은 [ REQUBE REPORT DESIGNER ]
설치파일을 실행하면 언어를 선택하는 창이 뜨게 됩니다.
2) 언어를 지정하고 확인을 누르면 Windows Installer가 실행되며 설치 초기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.
3) 계속해서 [ 다음(N) ] 을 클릭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.
(중간의 S/N 입력 및 경로나 기타 설정 변경이 있습니다.)
- 이렇게 설치를 완료하게 되면 시작프로그램 및 바탕화면에 리큐브 디자이너가 등록이 되며 패치가 있다면 적용을 해
주시면 됩니다.
2. 리큐브 설치(서버)
1) 원래 어떻게 배포되는지는 지금 시점에서 저도 정확히 알 수가 없지만 지금 유추해 볼 수 있는 바로는 .war 파일로
배포가 되고 배포받은 파일들을 개발폴더 등의 적당한 경로에 설치하면 됩니다.
3. 리큐브 설정
자~ 이제 가장 중요한 순간이 다가왔습니다. 모든 개발자들에게 어떻게 보면 가장 중요한 작업인 환경설정인데요.
리큐브는 어떻게 설정해야할까요? 다른 방법들도 있을 것 같지만 제가 설정해본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.
1) DB 계정 생성
- REQUBE Config에서 사용할 DB 계정을 생성합니다. (권한 및 생성은 기본적으로 아실 거라 생각하며 넘어갑니다.
2) WAS 설정(톰캣)
- 제가 쓰고 있는 was가 톰캣인 관계로 톰캣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.
(1) 톰캣 Context 추가
- conf/catalina/ 에 있는 context들을 활용하여 REQUBE Context를 등록합니다.
- context의 workdir는 위에서 설치한 REQUBE Server의 경로입니다.
- jdni name 및 기타 db 접속 정보를 설정합니다.
(2) properties 설정
- 위에서 설치한 REQUBE Server 아래의 [WEB-INF] → [classes] 에 위치한 log4j.properties와
rqreport.properties 파일을 수정합니다.
- log4j.properties에서 저같은 경우는 [ dir ] 이 부분의 경로만 지정을 하고 실제 경로를 생성하였습니다.
(기타 설정은 그대로)
- rqreport.properties에서는
i) 시스템에서 사용할 jdbcDriver 설정
ii) db종류 및 driver type 설정(32bit or 64bit)
iii) 관리자 계정 및 패스워드 설정
iv) jndi name확인
v) REQUBE Server type 설정( cf. 톰캣인지 제우스 등인지 )
vi) 기타 언어 및 문자셋 설정
3) 관리서버
- 위의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톰캣에서 지정한 context 루트로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을 할 수 있게 됩니다.
(1) 위에서 설정한 id/pw를 윕력하고 로그인을 하게 되면 관리자 페이지 초기화면이 뜹니다.
(가장 위쪽에 위치한 문서관리 메뉴가 selected.)
(2)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 [ 데이터베이스 ] 메뉴를 선택하고 DB 정보를 확인합니다.
여기에서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보인다면 DB 연결은 제대로 된 것입니다.
(3) [ 환경변수 ] 메뉴에서는 아까 수작업으로 수정하였던 rqreport.properties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
(저는 그렇게 작업을 하진 않았는데 was에 context만 제대로 등록되었으면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와서
화면상으로 보며 수정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)
(4) 여하튼 DB연결 및 기타 설정이 제대로 완료 되었으면 이제 드디어 리큐브 파일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는
관리 DB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.
아래화면에서 [ 관리 DB 생성 ] 을 클릭하여 관리 DB를 생성합니다.
정상적으로 완료된다면 DB안에 관련 Table들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(5) 관리 DB까지 생성완료하였으면 생성한 REQUBE파일을 서버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.
처음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왔을 때 보았던 문서 관리 화면에서 각각의 케이스에 맞게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.
i) [ 새 폴더 등록 ] 을 클릭하여 폴더를 등록하여 분류 할 수 있습니다.
ii) 새 문서 등록을 하여 REQUBE DESIGNER로 생성한 리큐브 파일을 등록 할 수 있습니다.
iii) 등록한 리큐브 파일에 현재 시스템의 DB를 연결하기 위해 해당 문서의 체크박스를 선택하고
[ 데이터베이스 설정 ] 단추를 클릭합니다.
해당 문서를 클릭하면 해당 문서에 설정되어 있는 DB정보가 보이며 변경할 JNDI를 선택하면 설정이 변경됩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위와 같이 설정을 하게 되면 기본적인 REQUBE 환경설정 및 등록은 끝난 것 입니다.
다 작성하고 보니 뭔가 분량은 좀 있는 것 같은데 실제 내용은 별로 없네요 ' ' ;;;
여하튼, REQUBE DESIGNER를 이용한 문서 생성은 혹여나 기회가 허락된다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.
그럼, 다음 기회에...ㅋㅋㅋ
...2013년 5월의 어느 비 오던 날에...
'IT > Develop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P] 동적 SELECT 박스 구현. (0) | 2013.10.30 |
---|